검색
골프
야구
국내야구
해외야구
축구
국내축구
해외축구
스포츠
농구
배구
일반
헬스
E스포츠
오피니언
엔터테인먼트
문화·라이프
마니아TV
오피니언
OPINION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12] 왜 윔블던은 남녀 종목을 ‘신사(gentllemen)’와 ‘숙녀(ladies)’라고 말할까
윔블던은 남성과 여성의 단식·복식을 표기할 때 ‘Men’s’나 ‘Women’s’ 대신 ‘Gentlemen’s’와 ‘Ladies'’를 사용한다. 흰색 유니폼과 잔디 경기장과 함께 대회 초창기부터 지켜온 전통이다. (본 코너 911회 ‘윔블던은 왜 ‘잔디’에서 경기를 할까‘, 907회 ’테니스 드레스코드는 왜 ‘올 화이트’가 됐을까‘ 참조) ‘Gentlemen’s’와 ‘Ladies’‘는 원래 영국적인 개념으로 매너와 품위를 갖춘 남자와 여자를 부르는 말이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중국 등에서는 ‘신사(紳士)’와 ‘숙녀(淑女)’라고 번역해 사용한다. 신사는 19세기 중국 지방 지배세력을 가리키는 말로 ‘Gentlemens’과 서로 유사한 뜻을 갖는다. 품위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11] 윔블던은 왜 ‘잔디’에서 경기를 할까
테니스 4대 메이저 대회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윔블던은 그랜드슬램 대회 중 유일하게 잔디 경기장을 고수한다. 1877년 첫 대회를 개최한 이후 오로지 잔디에서만 경기를 갖는다. 윔블던은 흰 옷을 입도록 한 드레스코드와 함께 초록 잔디를 전통으로 내세우고 있다. (본 코너 907회 ‘테니스 드레스코드는 왜 ‘올 화이트’가 됐을까‘ 참조) 윔블던은 왜 잔디경기장에서만 경기를 갖는 것일까. 그것은 현대 테니스의 역사과 깊은 관련이 있다. 테니스는 원래 ‘잔디 테니스(lawn tennis)’라고 불렸다. 영국에선 테니스를 아직도 공식적으로 ‘lawn tennis’라고 말하고 있기도 하다.(본 코너 901회 ‘왜 ‘테니스’라 말할까‘ 참조)브리태니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10] ‘라코스테(Lacoste)’가 테니스 브랜드로 시작한 이유
악어 문양으로 유명한 ‘라코스테’는 프랑스의 프레미엄 캐주얼 브랜드이다. 의류, 신발, 향수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라코스테가 원래 테니스 브랜드로 시작했다는 것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라코스테는 1920년대 프랑스의 테니스 스타인 장 르네 라코스테(Jean Rene Lacoste, 1904-1996)가 자신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프랑스식 발음은“‘라꼬스뜨”에 가까우며, 영어로 “라코스트”라고 발음한다. 하지만 1985년 한국에 처음 진출하면서 당시엔 “라꼬스떼”라고 표기했다가 현재는 “라코스테”라고 말한다. 장 르네 라코스테는 1920년대 말과 1930년대 초 프랑스가 낳은 세계적인 테니스 스타였다. 윔블던, 프랑스 오픈 등 그랜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09] 프랑스오픈은 왜 ‘클레이코트’에서 열릴까
프랑스오픈은 클레이코트에서 열리는 유일한 그랜드 슬램 테니스 토너먼트이다. 정확히는 클레이코트가 아니라 부서진 흰색 석회암 층 위에 붉은 벽돌을 깨서 다져 놓은 것이다. 이를 보통 클레이코트라고 부른다. 윔블던이 푸른 잔디 위에서 열리고, US오픈과 호주오픈이 하드코스에서 열리는 것과 대조적이다.클레이코트는 진흙을 의미하는 ‘클레이(Clay)와 경기장을 의미하는 ’코트(Court)’의 합성어이다. (본 코너 903회 ‘테니스에서 왜 ‘코트’라고 말할까‘ 참조) 클레이코트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프랑스오픈에서 쓰는 적색 점토와 단단한 표면인 ‘루키코’로 불리는 녹색 점토이다. 클레이코트는 유럽 대륙과 라틴 아메리카에서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08] ‘롤랑가로스(Roland-Garros)‘는 어떻게 만들어진 말일까
영국에 윔블던이 있다면 프랑스에는 롤랑가로스가 있다. 영국 윙블던 테니스 대회는 윔블던이라는 도시에서 열린다. 프랑스 오픈 테니스 대회는 파리 롤랑가로스 스타디움에서 벌어진다. 프랑스 오픈의 공식 명칭은 ‘Les Internationaux de France de Roland Garros’ 또는 ‘Tournoi de Roland-Garros’이다. 이름이 길기 때문에 보통 ‘롤랑 가로스(Roland-Garros)’ 혹은 ‘RG’로 줄여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국내에선 ‘프랑스 오픈(French Open)’으로 통칭되는 경우가 더 많다. 롤랑가로스는 1차 세계대전 당시 유명한 프랑스 조종사의 이름에서 따왔다. 프랑스오픈은 1891년 시작했다. 원래 프랑스 거주자만 참가하는 클럽 멤버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07] 테니스 드레스코드는 왜 ‘올 화이트’가 됐을까
테니스하면 떠오르는 색상은 흰색이다. 선수들이나 동호인들도 대개 흰색 상하의를 입고 경기를 한다. 옷 뿐 아니라 신발, 액서서리까지 흰색을 쓴다. 테니스에서 ‘올 화이트’ 드레스코드를 하게 된 것은 테니스의 오랜 전통과 역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테니스는 원래 프랑스 귀족들이 즐기던 ‘죄드폼(Jeu de Paume)’이라는 공놀이에서 유래됐다. 이 공놀이가 영국으로 전해지면서 테니스가 만들어졌다. (본 코너 901회 ‘왜 ‘테니스’라 말할까‘ 참조) 테니스는 왕족이나 귀족들이 즐겨 신사 스포츠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테니스 경기 특성상 몸을 격하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땀을 흘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하지만 땀을 흘려 옷이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06] 왜 ‘윔블던’이라고 말할까
윔블던은 세계테니스의 성전이다. 테니스 선수들은 물론 동호인들도 윔블던을 밟는 것만으로도 큰 영광으로 생각한다. 세계 4대 메이저 테니스 대회에서 최고 전통과 역사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본 코너 905회 '테니스에서 왜 ‘메이저 대회’라고 말할까' 참조) 세계테니스 사상 가장 성공적인 복식 선수였던 호주 테니스 전설 토드 우드브리지(52)는 “윔블던은 다른 어떤 대회와는 다르다” “윔블던 코트에 서 있으면 소름이 돋는 강렬한 감정이 든다”고 말했다. 윔블던은 영국 런던 도심에서 템스강 건너 남서쪽으로 11㎞가량 떨어진 동네 이름이다. 영어 위키피디아는 ‘Wimbledon’이라는 이름은 원래 ‘Wynnman's hill’이라는 의미라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05] 테니스에서 왜 ‘메이저 대회’라고 말할까
테니스에서 메이저 대회와 그랜드슬램은 대개 같은 개념으로 쓴다. 국제테니스연맹(ITF)에서 운영하는 대회 가운데 가장 권위있고 역사가 오래된 윔블던, 프랑스오픈, US오픈, 호주오픈 등 4개 대회를 말한다. 이를 흔히 메이저 대회, 또는 메이저라고 한다. 하지만 그랜드슬램은 이들 4개 대회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하는 것을 뜻한다. (본 코너 904회 ‘테니스에서 왜 ’그랜드슬램(GrandSlam)’이라고 말할까‘ 참조) 하지만 메이저대회를 보통 그랜드슬램 대회라고 말하기도 한다. 외래어인 메이저는 영어로 ‘Major’이라고 쓴다. 영어 사전에서 보면 ‘Major’는 ‘큰 쪽의, 보다 많은, 대다수의, 과반수의, 주요한, 일류의’라고 설명한다.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04] 테니스에서 왜 ‘그랜드 슬램(Grand Slam)’이라고 말할까
노바크 조코비치(36·세르비아·세계 5위)는 지난 달 29일 호주 멜버른의 로드 레이버 아레나에서 열린 호주오픈 남자 단식 결승전에서 스테파노스 치치파스(25·그리스·4위)를 2시간56분 혈투 끝에 3대0(6-3 7-6<7-4> 7-6<7-5>)으로 제압했다. 조코비치는 호주오픈 결승에 총 10차례 올라 모두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그는 자신이 보유한 호주오픈 최다 우승 기록을 10회로 늘렸고, 22번째 메이저 대회 우승 트로피를 품에 안으면서 라파엘 나달(37·스페인·2위)과 이 부문 최다 공동 1위로 어깨를 나란히 했다. 지난해 6월 이후 7개월 만에 세계 랭킹 1위 자리도 되찾게 됐다. 특히 남자 단식에서 호주 오픈 10회를 비롯, 프랑스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03] 테니스에서 왜 ‘코트’라고 말할까
코트는 외래어로 테니스, 농구, 배구 등에서 경기장을 이르는 말이다. 영어로 ‘court’라고 쓴다. 원래 ‘court’는 영국에서 법원을 의미하는 말이다. 지금도 ‘court’를 테니스 경기장과 같이 법정이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court’는 정원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χόρτος (khortos)’에서 유래했다. 라틴어 ‘cohors’, ‘cohort’‘를 거쳐 고대 프랑스어 ’cort’, ‘courtoyer’이 파생돼 영어에서 12세기부터 쓰기 시작했다. 1510년부터 테니스 경기 의미로도 사용했다. 법을 지키는 법원과 같이 여러 규칙에 따라 승자를 가린다는 의미에서 코트라는 말을 테니스에서 쓴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에서 스
오피니언
1
2
3
4
5
6
7
8
9
10
마니아, PICK!
[마니아포커스]개막전 선발 낙점 에이스들, 개막전 승리 없는 징크스 올해는 깨어질까?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잘못된 만남' 토트넘, 콘테의 열정 따라가지 못해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26세에 국대 은퇴?' '괴물' 김민재, 체력과 정신력 모두 '나약'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허구연 총재의 KBO 리그 미국 개막 일리 있다...켈리 "한국에 프로야구 리그가 있는 줄도 몰랐다"
오피니언
[2023 WBC]김혜성 첫 홈런 폭발, 박세웅·원태인은 무실점 호투로 한신에 7-3으로 승리
국내야구
[2023 WBC]본선 앞둔 마지막 평가전, 베스트라인업이 뜬다…최정 3루 복귀로 6~9번 타선은 변화 줘
국내야구
"우승의 열망과 의지를 담아" 키움 히어로즈, 2023시즌 캐치 프레이즈 '함께 더 높게'
국내야구
"한국 야구가 일본 동생"? 핀스트라이프앨리 "양의지, 최정, 이정후가 진짜 스타"
국내야구
고진영, 여자골프 세계 3위로 도약
골프
클린스만, 손흥민에 영어 쓸까, 독일어 쓸까?...독일어가 더 편할 듯
국내축구
facebook
NAVER cafe
NAVER Blog
Youtube
Kakao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