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골프
야구
국내야구
해외야구
축구
국내축구
해외축구
스포츠
농구
배구
일반
헬스
E스포츠
오피니언
엔터테인먼트
문화·라이프
마니아TV
오피니언
OPINION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65] 테니스에서 왜 ‘슬라이스(slice)’라고 말할까
영어에서 슬라이스는 여러 뜻을 갖는다. 명사로는 얇은 조각이나 부분을 의미한다. 스포츠용어로는 타자가 공을 깎아서 치는 샷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다. 골프, 테니스 등에서 많이 쓰지만 두 종목에서 쓰이는 의미는 엄밀히 말하면 차이가 많다. 골프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급하게 휘어지는 샷을 의미하며, 테니스에선 공을 깎듯이 치는 타법을 가르킨다.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slice’의 어원은 서기 800년부터 1100년 사이의 남부 독일어인 ‘slihhan’이며, 앵글로 프랑스어 ‘’sclice’를 거쳐 현대 영어로 차용됐다. 15세기부터 잘라낸 얇은 조각이라는 의미로 쓰였으며, 1890년부터 골프용어로 사용했다. 테니스는 골프용어를 차용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64] 왜 ‘패싱샷(passing shot)’이라고 말할까
2018년 호주오픈 테니스 남자단식 16강전. 당시 세계랭킹 58위 정현은 세계랭킹 14위 노박 조코비치와 만났다. 이름값만 놓고 봐도 조코비치의 일상적 승리가 예상됐다. 하지만 오른쪽 팔꿈치 부상에서 회복하지 못한 조코비치는 정현의 거센 도전 앞에 세트스코어 3-0(7-6<4> 7-5 7-6<3>)으로 무릎을 꿇었다. 예상밖의 결과였다. 경기에 패한 조코비치는 “그(정현)는 충분히 이길 자격이 있었다. 위기에 처할 때마다 훌륭한 패싱샷을 쳤다. 마치 코트의 벽처럼 느껴졌다”고 밝혔다. 정현이 패싱샷을 절묘하게 구사해 이길 수 있었다는 것이다. 패싱샷은 네트 가까이에서 상대 선수의 손이 안 닿게 빠져 나가는 샷을 말한다. 영어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63] 왜 ‘로브(lob)’라고 말할까
조코비치와 같은 세계적인 테니스 선수들이 베이스라인 위로 절묘한 로브를 섞어가며 경기를 하는 모습은 관중들의 탄성을 자아내개한다. 승부처에서 까다로운 백핸드 크로스 로브샷을 정확하게 반대쪽 코트 구석에 떨어뜨려 세트 포인트 기회를 만들어내곤 한다. 로브는 테니스나 골프 등에서 공을 높이 쳐 올리는 것을 말한다. 일명 로브샷이라고도 한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lob’의 어원은 중세 독일어와 네덜란드어로 매달린다는 의미를 가진 ‘lobbe’이다. 중세영어 ‘lobbe’를 거쳐 19세기 중반부터 ‘lob’라는 말로 바뀌며 현재의 의미를 갖게됐다. 우리나라 언론에선 1980년대부터 테니스와 골프 용어로 쓰기 시작했다. 조선일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62] 왜 ‘킥서브(kick serve)’라고 말할까
‘테니스 황제’ 로저 페더러가 전성기 시절 구사했던 두 번째 서브는 반대편 코트에 떨어질 때 유난히 높이 튀어 오르는 경우가 많았다. 보통 1.6m 높이여서 선수들의 입술까지 올라갔다. 상대 선수 머리 끝까지 오르는 경우도 있었다. 이 같은 그의 서브 볼은 톱스핀이 들어가 있어 상대 라켓을 맞고도 바깥으로 튀어 나가 포인트로 이어졌다. 페더러와 같은 구질의 서브를 테니스 용어로 ‘킥 서브(kick serve)’라고 말한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kick serve’는 발로 찬다는 의미인 ‘kick’와 상대에 볼을 넘긴다는 의미인 ‘serve’의 합성어이다. ‘kick’이라는 말은 1845년 영국 럭비학교(Rugby School)에서 처음 사용했다고 한다.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61] 테니스에서 왜 ‘하프발리(half volley)’라고 말할까
‘테니스 황제’ 로저 페더러는 전성기 때, 승부처에서 상대의 세컨드 서브를 막아내기 위해 빠르게 네트에 접근해 ‘하프발리(half volley)’ 리턴으로 2구만에 제압하는 기술를 잘 활용하곤했다. 미국 언론에서 그의 네트플레이를 ‘SABR(Sneak Attack By Roger)’이라고 명명했다. 로저에 의해 기습 공격이라는 뜻이다. 사실 하프발리는 공격이라기보다는 방어적 편법에 가깝다. 발리로 공격할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 기습적으로 하는 플레이기 때문이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half volley’는 절반을 의미하는 명사 ‘half’와 맞받아치기를 의미하는 명사 ‘volley’의 합성어로 볼이 바운드되는 동시에 치는 것을 말한다. ‘half’는 고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60] 테니스에서 왜 ‘플래트(flat)’라고 말할까
스포츠 용어로 ‘플래트(flat)’는 대개 평탄하다는 의미를 갖는다. 골프에서 ‘플래트 코스(course)’는 굴곡이 없는 평평한 코스를 가르킨다. ‘플래트 스윙(swing)’은 지면과 수평에 가깝게 가로로 휘두르는 스윙을 말한다. 세로로 가파르게 하는 ‘업라이트(upright) 스윙’의 반대되는 개념이다. 야구에선 타자가 치기 쉬운 눈 속임이 없는 직구를 플래트라고 부른다. 테니스에선 스핀이 전혀 없이 볼을 치는 샷을 의미한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flat’는 고대 노르만어 ‘flatr’이 어원이며 , 1300년대 고대 영어 ‘flett’를 거쳐 중세영어에서 평평한 의미로 쓰였다. 수평이나 공기가 빠진 타이어, 엎드린 자세 등의 뜻으로 사용됐
오피니언
[마니아 노트] 국내 '제1호' 퍼블릭골프장 올림픽CC가 올 첫 번째로 대중골프장 신고를 한 이유
지난 3년여간 국내 골프장업계는 ‘코로나19’ 특수를 맞았다. 해외 골프여행이 제한을 받으면서 국내 골프장으로 골프객들이 모여들어 호황을 누렸던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 방역지침이 완화되면서 해외 골프여행이 본격적으로 재개됨에 따라 올해부터 국내 골프장 내장객들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 지난 1988년 제1호 퍼블릭골프장 올림픽CC(경기 고양시 소재)가 지난 1월 가장 먼저 문화체육관광부에 대중형골프장으로 신고를 한 것은 골프장 매출 하락에 대비하기 위한 발빠른 조처였다. 과거 골프장은 회원제와 대중제, 두 가지 분류체계로 운영됐다. 하지만 지난해 말'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과 '대중형 골프장 지정
오피니언
[마니아 노트] 31세 장하나, 퀸튜플 보기 범하며 출전 선수 최하위 수모...스윙 변경과 위경련이 원인
‘1라운드 1번홀 퀸튜플보기’ 지난 2021년 6월 롯데오픈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KLPGA 최초로 통산 누적 상금 50억 원을 돌파했던 장하나(31)가 13일 메디힐·한국일보 챔피언십(총상금 10억원) 1라운드 1번홀에서 최악의 스코어를 작성했다. 이날 경기도 여주의 페럼클럽(파72·6천652야드)에서 열린 경기에서 장하나는 파4 1번홀에서 규정 타수보다 5타 많은 퀸튜플보기를 기록했다. 장하나는 이날 퀸튜플보기 1개, 더블보기 3개, 보기 3개와 버디 1개를 묶어 무려 13오버파 85타를 쳤다. 주말 골퍼 수준의 경기내용을 보였던 것이다. 1라운드 성적은 출전 선수 120명 가운데 기권한 정주원을 빼고 최하위인 119위였다. 2라운드서도 8오버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59] 테니스에서 왜 ‘드롭샷(drop shot)’이라고 말할까
스포츠용어로 ‘드롭(drop)’은 여러 의미를 갖는다. 골프에서 드롭은 룰에 의하여 볼을 주워 올려 정해진 장소에 떨어뜨리는 것을 의미한다. 예전에는 홀을 향해 똑바로 서서 어꺠너머로 자기 후방에 볼을 떨어뜨렸다. 최근 바뀐 룰은 떨어뜨리는 지점이 무릎 높이가 됐다. 야구에선 커브(curve)의 일종으로 아래로 떨어지는 볼을 말한다. 요즘은 드롭보다는 가라 앉는다는 의미인 ‘싱커(sinker)’라는 말을 더 많이 쓴다. 테니스, 배드민턴 등 라켓을 쓰는 종목에선 ‘샷(shot)’이라는 말을 뒤에 붙여 네트를 넘어 바로 떨어지는 기술을 의미한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drop shot’은 떨어짐을 의미하는 명사 ‘drop’와 발사를 의미하는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58] 테니스에서 왜 ‘다운더미들(down the middle)’이라 말할까
테니스는 볼을 얼마나 잘 넘기느냐에 따라 승부가 갈린다. 코트에서 다양하고 많은 슛을 날리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샷명칭이 다른 어느 종목보다 많은 이유이다. 상대를 효과적으로 무너뜨리는 샷 가운데 하나로 ‘다운더미들(down the middle)’이라는 게 있다. 센터 서비스라인과 거의 평행한 곳에 볼을 떨어뜨리는 샷이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down the middle’은 아래라는 의미인 부사 ‘down’와 가운데라는 의미인 명사 ‘the middle’의 합성어로 가운데를 따라 내려간다는 뜻이다. 1800년대 후반부터 테니스에서 사용한 말로 추정된다. (본 코너 956회 ‘테니스에서 왜 ‘다운더라인(down the line)’이라고 말할까‘ 참조)
오피니언
1
2
3
4
5
6
7
8
9
10
마니아, PICK!
[마니아포커스]개막전 선발 낙점 에이스들, 개막전 승리 없는 징크스 올해는 깨어질까?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잘못된 만남' 토트넘, 콘테의 열정 따라가지 못해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26세에 국대 은퇴?' '괴물' 김민재, 체력과 정신력 모두 '나약'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허구연 총재의 KBO 리그 미국 개막 일리 있다...켈리 "한국에 프로야구 리그가 있는 줄도 몰랐다"
오피니언
[2023 WBC]김혜성 첫 홈런 폭발, 박세웅·원태인은 무실점 호투로 한신에 7-3으로 승리
국내야구
[2023 WBC]본선 앞둔 마지막 평가전, 베스트라인업이 뜬다…최정 3루 복귀로 6~9번 타선은 변화 줘
국내야구
"우승의 열망과 의지를 담아" 키움 히어로즈, 2023시즌 캐치 프레이즈 '함께 더 높게'
국내야구
"한국 야구가 일본 동생"? 핀스트라이프앨리 "양의지, 최정, 이정후가 진짜 스타"
국내야구
고진영, 여자골프 세계 3위로 도약
골프
클린스만, 손흥민에 영어 쓸까, 독일어 쓸까?...독일어가 더 편할 듯
국내축구
facebook
NAVER cafe
NAVER Blog
Youtube
Kakao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