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골프
야구
국내야구
해외야구
축구
국내축구
해외축구
스포츠
농구
배구
일반
헬스
E스포츠
오피니언
엔터테인먼트
문화·라이프
마니아TV
오피니언
OPINION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88] 테니스에서 왜 ‘와일드카드’라고 말할까
남자 테니스 세계랭킹 1위 노박 조코비치의 코치로 활약하는 고란 이바니셰비치(52)는 남자 테니스 역사상 유일한 와일드카드 출신의 그랜드슬램 우승자이다. 1990년대 크로아티아를 대표했던 그는 와일드카드를 받고 출전한 2001년 윔블던 결승에서 호주의 패트릭 래프터를 풀세트 접전 끝에 3-2(6-710-12, 7-67-5, 6-4, 6-2)로 극적인 승리를 거두고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미국의 피트 샘프러스와 스위스의 로저 페더러로 이어지는 남자 테니스 계보에서 이를 비집고 와일드카드라는 제도에 힘입어 우승을 차지해 큰 주목을 받았다. 테니스에서 와일드카드는 일반적으로 토너먼트에 참가하는 선수 중 일부에게 특별 참가 자격을 부여하는 것을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87] 왜 ‘테니스 엘보’라고 말할까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뜻이다. ‘오히려 유(猶)’를 '오히려'로 해석해서 ‘지나침은 오히려 (모자람에) 미치지 못한다’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잘못된 해석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유(猶)'는 서술어로 쓰인 것이며, 서술어로 쓰일 때는 '같다'는 뜻이다. 이 고사성어는 ‘논어(論語)’에 나오는 말로 공자의 핵심가치인 ‘중용(中庸)’과 같은 의미이다. 테니스 엘보는 팔과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에게 나타나는 증상이다. 손과 팔에 무리한 힘이 주어져 팔꿈치 관절에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테니스나 골프를 많이 하는 사람에게 나타나서 각각 테니스, 골프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86] 왜 ‘라인즈 맨(linesman)’이라 말할까
윔블던 등 테니스 메이저 대회를 TV 중계로 보다보면 ‘아웃(out)’ 이나 ‘폴트(fault)’를 큰 목소리로 외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라인 밖으로 볼이 떨어질 경우 신속하게 이러한 두 단어 중 하나를 외치며 팔을 어깨 높이까지 수평하게 들거나 손바닥을 수직으로 벌려 주심쪽으로 향하게 한다. 테니스 심판 가운데 이런 일을 하는 이들을 ‘라인즈 맨(linesman)’이라 말한다. 타구가 정해진 코트 구역 안쪽에 떨어져 유효타가 됐는지, 바깥쪽에 떨어져 무효타가 됐는지를 판정하는 사람이다. 영어용어사전 등에 따르면 ‘linesman’은 선을 뜻하는 명사 ‘line’의 복수형 단어 ‘lines’와 사람을 뜻하는 명사 ‘man’의 합성어이다. 라인즈
오피니언
[마니아 노트] 고지우 생애 첫 홀인원, 박지영 통산 세 번쨰 홀인원... 각각 벤츠 자동차와 다이아몬드 목걸이 부상 챙겨
13일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수원 컨트리클럽(파72ㅣ6,586야드)에서 2023시즌 KLPGA투어 여덟 번째 대회인 '2023 NH투자증권 레이디스 챔피언십'(총상금 8억 원, 우승상금 1억 4천4백만 원) 2라운드에서 고지우(22)와 박지영(27)이 각각 홀인원을 성공시켜 푸짐한 부상을 챙겼다.고지우는 오전 16번홀 아이언 6번 티샷으로 홀인원을 성공시켰다. 홀인원 성공으로 16번홀 메르세데스 벤츠 공식 딜러 KCC오토에서 제공하는 9300만원 상당의 '벤츠 EQE300' 고급승용차를 부상으로 받게 됐다.고지우에 이어 오후 조로 출발한 박지영은 157미터 거리의 3번홀에서 아이언 7번으로 홀인원을 낚았다. 3번홀 홀인원 부상으로 신동아골프에서 제공하는 1000만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85] 왜 ‘볼 퍼슨(ball person)’이라 말할까
센터코트 앞에 젊은 남녀 학생들이 열중쉬어 자세로 일렬로 대기해 있다. (본 코너 941회 ‘테니스에서 왜 ‘센터 라인(center line)’이라고 말할까‘ 참조) 여학생은 양 갈래 머리, 남학생은 짧게 깎은 머리에 제식 행렬하는 군인들처럼 걷는다. 세계 최고의 테니스 대회인 윔블던이 열리면 전 세계인들이 쉽게 볼 수 있는 장면이다. ‘볼 퍼슨(ball person)’이다. 볼 퍼슨은 영국 청소년들이 선망하는 자리이다. 윔블던 조직위원회가 엄선한다. 영국 중·고교에서 만 15세 이상 학생 1000여명이 지원해 그중 250명만 뽑히고, 대회를 앞둔 6개월간 코트훈련을 배운다. US오픈, 프랑스오픈, 호주오픈 등 메이저대회서도 볼 퍼슨을 윔블던과 비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84] 왜 ‘기어(gear)’가 스포츠용구라는 뜻을 갖게 된 것일까
스포츠용어로 ‘기어(gear)’는 스포츠 용구를 뜻한다. 운동을 할 때 몸을 보호하거나 도움을 주는 전반적인 장비를 말한다. 기어라고 하면 먼저 변속장치, 톱니바퀴 등을 연상할지 모르지만 원래는 용구나 의복 등의 의미를 갖는다. 우리나라에선 기어라는 말을 한때 ‘기아’라고 읽은 적이 있었다. 자전거를 만들던 ‘기아산업’이라는 회사가 있던 시절이었다. 기아산업은 현대자동차가 인수한 전 기아자동차 전신이다. 우리 국어사전에 기어는 외래어로 톱니바퀴 또는 몇 개의 톱니바퀴로 이루어진 전동장치라는 의미로 설명하고 있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gear’의 어원은 고대 독일어로 의류나 장비를 의미하는 ‘garwjan’이며, 12
오피니언
[마니아포커스]롯데 상승세 이어갈 마지막 퍼즐…'이제는 박세웅이 응답할 차례다'
우천으로 한차례씩 선발 로테이션을 거른 덕분일까? 롯데자이언츠의 외인 원투펀치인 댄 스트레일리과 찰리 반즈는 4월 부진 터널에서 벗어나 5월들어 구위 회복의 신호를 보내고 있다. 올시즌 롯데가 FA인 유강남 노진혁과 한현희를 영입하고 이런저런 이유로 방출의 칼날을 피하지 못한 안권수 김상수 등을 받아 들여 대폭 전력을 높였으나 어느 누구도 5강 후보로 꼽지는 않았다. 하지만 롯데는 전문가들의 이런 평가를 비웃기라도 하듯 지난달 20일 사직 KIA전부터 5월 2일 광주 KIA전까지 9연승을 달리며 7위에서 성큼 단독 1위까지 오르는 믿기 어려운 모습을 보였다. 2008년 7월27일 사직 한화 이글스전부터 9월2일 사직 LG 트윈스전까지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83] 왜 ‘그립(grip)’이라 말할까
그립(grip)은 외래어로 배트나 라켓·골프채 등의 손잡이, 또는 그것을 잡는 방법이라는게 사전적 정의이다. 우리나라에선 주로 손으로 잡는 부분을 그립이라고 말한다. 골프 클럽 손잡이나, 테니스 및 탁구, 배드민턴 라켓 손잡이 등을 그립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미국 등에서 그립은 명사나 동사형으로 꽉 잡는 것을 의미하는 뜻으로 많이 사용한다. 예를들어 문 손잡이를 잡거나 독자의 흥미를 끄는 이야기를 한다고 할 때 ‘grip’이라는 단어를 쓴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grip’은 붙잡는다는 의미인 고대 독일어 ‘gripfen’가 어원이며, 고대 영어 ‘grippan’이 변형된 말이다. 12세기부터 움켜쥐거나 붙잡는 행위 등을 의미하는 뜻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82] 왜 ‘관중석(觀衆席)’이라 말할까
경기의 인기도를 반영하기 위한 방법으로 관중석이 어느 정도 찼는 지를 알리는 경우가 많다. 지난 7일 안양 KGC인삼공사와 서울 SK의 2022-2023 SKT 에이닷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7전 4승제) 7차전이 열린 안양체육관에는 KBL 공식 발표 기준 5천905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이틀 전 같은 장소에서 열린 6차전의 5천850명을 넘어서는 이번 시즌 프로농구 최다 관중 신기록이다. (본 코너 929회 ‘왜 ‘관중(觀衆)’이라고 말할까‘ 참조)관중석(觀衆席)은 운동 경기 등을 구경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이 앉는 자리를 뜻한다.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쓰는 한자어이다. ‘볼 관(觀)’과 ‘무리 중(衆)’이 합쳐진 단어인 ‘관중(觀衆)’과 자리를 뜻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81] 테니스에서 왜 ‘mixed doubles’를 ‘혼합 복식’이라 말할까
테니스에서 혼합복식은 영어 ‘mixed doubles’를 번역한 말이다. 단식, 복식과 마찬가지로 혼합복식도 일본식 한자어이다. (본 코너 975회 ‘테니스에서 왜 ‘doubles’를 ‘복식(複式)’이라고 말할까‘, 974회 ’테니스에서 왜 ‘singles’를 ‘단식(單式)’이라고 말할까‘ 참조) 혼합복식은 ’혼합(混合)‘과 ’복식(複式)‘의 합성어인데, 두 단어도 모두 일본식 한자어이다. 남녀 2명이 한 팀을 구성해 경기를 갖는 형태라는 뜻이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mixed doubles’는 섞인다는 의미를 갖는 과거분사형 ‘mixed’와 복식을 의미하는 명사형 ‘doubles’가 합해진 말이다. 원래 ‘mixed’는 라틴어 ‘mixtus’가 어원이며, 고대
오피니언
1
2
3
4
5
6
7
8
9
10
많이 본 뉴스
이다희, 미소가 아름다워 ~~
6연승 샌디에이고...복통 김하성 3경기 연속 결장, 최지만은 2타수 무안타 2출루
해외야구
스넬, 110년만에 ERA와 최다 볼넷 MLB 동시 1위 '진기록' 세우나...볼넷 3개 추가하면 57년만에 200이닝 미만동안 200개 이상 탈삼진과 100개 이상 볼넷 기록
해외야구
에스파 윈터, 2024 부산세계탁구선수권대회 홍보대사 위촉
Kpop
아쿠냐 주니어 38, 39호 홈런 MLB 최초 40-60 클럽 가입 눈앞...홈런 1개만 더 치면 달성
해외야구
사흘 만에 선발 출전한 배지환, 컵스전 4타수 무안타
해외야구
과르디올라 "곤경에 빠졌다"...실바도 챔피언스리그 경기서 부상 "수 주 결장"
해외축구
'클템'&'노페', 항저우 아시안게임 롤 해설 "처음 접하는 분도 알기 쉽게 설명할 터"
e스포츠
‘e스포츠 전설’ 전용준, 항저우 아시안게임 '롤' 중계 맡아
e스포츠
오타니, 2024년 '일도류' 2025년 '이도류'...팔꿈찌 수술 "더 강한 모습으로 돌아오겠다"
해외야구
facebook
NAVER cafe
NAVER Blog
Youtube
Kakao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