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골프
야구
국내야구
해외야구
축구
국내축구
해외축구
스포츠
농구
배구
일반
헬스
E스포츠
오피니언
엔터테인먼트
문화·라이프
마니아TV
오피니언
OPINION
[마니아노트] 손흥민도 비전 없는 토트넘 떠나라...레비 회장은 우승이 목표가 아니라 돈이 목표
해리 케인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이하 맨유)행이 가시화하고 있다.영국 언론 매체들은 맨유가 케인을 영입하기 위해 '실탄'을 준비했다고 전했다. 토트넘의 다니엘 레비 회장은 클럽을 철저하게 비즈니스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인물이다. 쉽게 말해 선수들을 이용해 수익을 올린다는 것이다.때문에, 그의 관심사는 컵대회 우승이 아니다. 우승해봐야 돈이 안 된다.대신 챔피언스리그에 목을 걸고 있다. 돈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리그 4위에 올인하는 것이다.토트넘이 15년 째 무관인 이유다.케인은 리그 4위가 성공적인 시즌이라고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우승을 하고 싶다는 말이다.토트넘의 비전은 오로지 돈을 챙기는 것이다. 장기적인 계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30] 테니스에서 왜 ‘러브(love)’라고 말할까
테니스는 스포츠 종목 가운데 점수 산정방식이 가장 독특하다. 통상적인 구기종목은 1, 2, 3, 4점으로 점수를 매긴다. 하지만 테니스는 15, 30, 40, 60(게임)으로 점수를 계산한다. 게다가 '0점'을 일컫는 말을 '제로(zero)'가 아닌 '러브(love)'라고 말한다. 이 단어는 낭만적인 의미인 사랑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테니스에서 0점을 러브로 부르는 이유는 프랑스어로 계란을 뜻하는 '뢰프(l'oeuf)'라는 말이 영국으로 건너가 '러브'가 되었다는 설과 스코틀랜드어로 0을 뜻하는 '라프'가 역시 러브로 변형됐다는 설이 있다. 상대방에 대한 배려로 0점을 러브라는 말로 사랑스럽게 불러준다는 속설도 있다.테니스는 프랑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추신수가 맞다고? 그래도 틀렸다
김광현, 양현종, 김현수가 호주와 일본전에서 부진하자 이들의 세대교체를 주장한 추신수의 발언이 맞았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언제는 추신수의 발언이 틀렸다며 융단폭격을 가하더니, 이들이 부진하자 180도 태도를 바꾸고 있는 것이다. 안우진을 대표팀에 합류시켜야 했다는 지적도 있다.참으로 어처구니가 없다.그런 논리라면, 김하성과 토미 에드먼은 뭐하러 뽑았는가? 그들은 테이블세터로서 '빵점'이었다. 호주와 일본전에서 둘이 뽑아낸 안타는 단 1개 뿐이다.어떤 사안을 결과론으로 판단하는 것은 매우 어리석고 경계해야 할 일이다.한국이 호주와 일본에 패한 것은 세대교체를 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실력이 그 정도밖에 되지 않기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이런 식으로는 향후 '30년' 간 일본 이길 수 없다...'대오각성'해야
스즈키 이치로는 2006년 WBC 대회를 앞두고 "싸울 상대가 향후 30년간 일본은 손도 대지 못하겠구나라는 샛각이 들도록 하고 싶다"라고 말했다.한국을 직접 지칭한 것은 아니지만, 당시 그의 발언은 한국 선수들을 각성케 했다. 한국은 일본을 두 번이나 물리쳤다.10일 '도쿄대첩'이 아니라 '도쿄참사'가 일어났다. 한국이 일본에 콜드게임을 간신히 모면하는 굴욕을 당하며 4-13으로 참패했다.메이저리거들이 참가했다는 점에서 이번 한일전은 진정한 실력 대결이었다.한국은 이날 투타에서 일본과의 현격한 수준 차를 드러냈다.특히, 투수력에서 한국은 일본에 완패했다. 누구 하나 제대로 일본 타자들을 제압하지 못했다. 한국은 그동안 일본에
오피니언
[2023 WBC]'한국야구 사활의 갈림길' 숙명의 한일전…'희망고문 되지 않기를'
"정말 일본을 누를 수 있을까? 아니면 희망고문일까?"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한국대표팀이 충격의 1패를 안고 숙명의 한일전에 올인한다. 한국대표팀은 10일 오후 7시 도쿄돔에서 김광현과 다르빗슈 유의 선발 맞대결로 운명의 한일전을 벌인다. 한국이 일본전마저 패하면 2패를 떠 안게 돼 극적으로 회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사실상 8강은 물 건너 갔다고 봐야 한다.그렇기에 한일전은 더 없이 중요하고 한국대표팀을 대표하는 김광현(SSG 랜더스)의 어깨가 더 무거울 수밖에 없다. 더구나 동갑내기인 양현종(KIA 타이거즈)가 호주전에 가장 중요한 순간에 불펜으로 나서 단 한타자도 잡지 못하고 3타자
오피니언
[마니아 노트] 강백호의 문제점은 '집중력 산만'...경기보다 다른 생각에 빠져 있어
강백호가 2루에서 '비명횡사'한 것은 앞으로 두고두고 인구에 회자할 것이다.사람은 실수할 수 있다. 그러나 실수가 반복되면 문제가 있다. 강백호는 지난해 도쿄올림픽에서 경기중 무슨 생각에 빠졌는지 껌을 질겅질겅 씹었다가 호된 비판을 받았다.정신을 차렸는가 했으나 역시 강백호였다. 9일의 호주전에서 2루타를 친 후 기쁨의 세리머니를 하다 발이 베이스에서 떨어진 틈을 탄 호주 선수가 태그아웃시킨 것이다.선수가 세리머니를 할 수 있다. 다들 한다. KBO도, 메이더리그도, NPB도 그렇게 한다.문제는 세리머니를 하다 베이스에서 발을 떼는 경우는 극히 드믈다. 아마추어 경기에서도 그렇게는 하지 않는다.산만함 때문이다. 야구 선수
오피니언
[마니아 노트] "정말 뭐 같은 시즌"? 히샬리송 그 입 다물라...손흥민도 콘테 '피해자'
히샬리송이 자기 대신 손흥민이 계속 선발로 선택되자 험한 말을 쓰며 안토니오 콘테 감독을 저격했다.히샬리송은 토트넘이 챔피언스리그 16강전에서 탈락하자 그동안 참았던 울분을 떠뜨렸다.자신이 뛴 경기에서 토트넘이 이겼는데도 왜 또 선발에서 제외되느냐는 것이다. 이는 손흥민을 겨냥한 발언이다. 손흥민이 극도로 부진함에도 그를 계속 선발로 기용하는 콘테 감독에 불만을 터뜨린 것이다.그러나 따지고 보면 손흥민도 '피해자'다.콘테 감독은 지난 시즌 손흥민이 득점을, 해리 케인이 도움을 주는 전략을 펼쳤다. 케인이 시즌 초 맨시티 이적 파문으로 폼이 좋지 않자 손흥민이 사실상 그의 역할을 헀다. 이 같은 전술은 누누 산투 전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27] 테니스에서 ‘마스터스(Masters)’는 어떤 대회일까
골프에서 마스터스 대회는 4대 메이저 대회 가운데 최고 전통과 명예를 갖는다. 4월 미국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열리는 마스터스 대회는 말 그대로 ‘장인 열전’이라고 할 정도로 최고의 선수가 출전한다. 테니스에서도 마스터스라는 명칭이 붙은 대회가 열린다. 골프에서 마스터스가 최고 대회라면 테니스에서 마스터스는 4대 메이저 대회 바로 아래급의 대회이다. 윔블던 등 4대 메이저, ATP 파이널스 다음의 위상과 권위를 갖는 투어 대회이다. (본 코너 915회 '왜 테니스에서 ‘투어(tour)’라고 말할까' 참조)‘마스터스(Masters)’라는 말의 어원은 라틴어 ‘Magister’이다 . 마스터스는 마스터의 복수형이다. 원래 마스터는 우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26] ‘빌리 진 킹 컵’ 대회에서 ‘빌리 진 킹’은 어떤 인물을 말할까
국제테니스연맹(ITF)가 주최하는 대회 가운데 사람 이름을 딴 대회가 2개 있다. 데이비스 컵(Davis Cup)과 빌리 진 킹 컵(Billie Jean King Cup)이다. (본 코너 913회 ‘왜 ‘데이비스 컵'이라 말할까’ 참조) 두 대회는 각각 남녀 테니스 국가 대항전 대회이다. 빌리 진 킹 컵은 1963년 ITF 창립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시작됐다. (본 코너 914회 ‘왜 ‘국제테니스연맹(ITF)’이라고 말할까‘ 참조) 1995년까지는 ‘페더레이션 컵(Federation Cup)’이라는 명칭을, 2020년까지는 ‘페드 컵(Fed Cup)’을 사용했다. 2020년 9월 미국 여자 테니스 선수인 빌리 진 킹의 이름을 따서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943년생인 빌리 진 킹은 1960년대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925] 왜 테니스 대회에서 영어 ‘Meet’라는 말을 쓸까
대회를 의미하는 영어 표현은 여러 가지가 있다. ‘Tournament’, ‘Competition’, ‘Championship’, ‘Meet’, ‘Classic’, ‘Event’, ‘League’, ‘Tour’, ‘Race’ 등이 있다. 영어식으로는 각 표현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우리 말로는 모두 순한자어로 대회(大會)라고 말한다. ‘큰 대(大)’와 ‘모을 회(會)’가 결합한 대회의 사전적 뜻은 많은 사람의 모임이나 전체적인 모임 또는 대규모 법회 등이다. 규모의 크기를 강조할 때 접미사로 쓴다. 사실 대회에 맞는 마땅한 영어 표현은 없다. (본 코너 667회 ‘왜 ‘대회(大會)’라는 말을 쓰는 것일까‘ 참조)테니스에선 대회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로는 ‘토너먼트(Tournament)’를
오피니언
1
2
3
4
5
6
7
8
9
10
마니아, PICK!
[마니아포커스]개막전 선발 낙점 에이스들, 개막전 승리 없는 징크스 올해는 깨어질까?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잘못된 만남' 토트넘, 콘테의 열정 따라가지 못해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26세에 국대 은퇴?' '괴물' 김민재, 체력과 정신력 모두 '나약'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허구연 총재의 KBO 리그 미국 개막 일리 있다...켈리 "한국에 프로야구 리그가 있는 줄도 몰랐다"
오피니언
[2023 WBC]김혜성 첫 홈런 폭발, 박세웅·원태인은 무실점 호투로 한신에 7-3으로 승리
국내야구
[2023 WBC]본선 앞둔 마지막 평가전, 베스트라인업이 뜬다…최정 3루 복귀로 6~9번 타선은 변화 줘
국내야구
"우승의 열망과 의지를 담아" 키움 히어로즈, 2023시즌 캐치 프레이즈 '함께 더 높게'
국내야구
"한국 야구가 일본 동생"? 핀스트라이프앨리 "양의지, 최정, 이정후가 진짜 스타"
국내야구
고진영, 여자골프 세계 3위로 도약
골프
클린스만, 손흥민에 영어 쓸까, 독일어 쓸까?...독일어가 더 편할 듯
국내축구
facebook
NAVER cafe
NAVER Blog
Youtube
Kakao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