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골프
야구
국내야구
해외야구
축구
국내축구
해외축구
스포츠
농구
배구
일반
헬스
E스포츠
오피니언
엔터테인먼트
문화·라이프
마니아TV
오피니언
OPINION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701] 왜 ‘Olympic Solidarity’라고 말할까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지난 2년간 세계적인 코로나바이러스 대위기에도 불구하고 각국올림픽위원회(NOC)와 국제경기연맹(IFS) 등을 통해 활발한 소통과 협치로 2020 도쿄여름 올림픽과 2022 베이징 겨울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2020 도쿄올림픽은 1년 연기라는 일찍이 볼 수 없었던 역사적인 결정을 할 수 밖에 없었으며 2022 베이징올림픽은 코로나 비상 상황 속에서 치러내 수 있었다. 이는 IOC가 ‘‘Olympic Solidarity’ 프로그램을 오랫동안 운영하며 연대와 결속을 맺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영어 ‘Olympic Solidarity’는 우리나라에서는 영어 발음대로 말하고 한글로 알파벳을 차음 해 표기한다. 우리말로 정확한 의미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700] 왜 ‘국제경기연맹’이라고 말할까
1929년 2월8일자 조선일보 석간 5면에 육상경기규칙(陸上競技規則)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기사는 ‘전일본육상경기연맹(全日本陸上競技聯盟)에서는 거사일(去四日)에 경기규칙(競技規則)의 개정(改正)을 발표(發表)하얏는데 중요(重要)한 제조항(諸條項)은 일에와가티『암스텔탐』의『올림픽』대회후 국제규정(大會後國際規定)에 의(依)하야 개정(改正)한 것으로 기중(其中)에는 일본(日本)의 독특(獨特)한 견해(見解)도 잇다’고 전했다. 일본육상경기연맹이 1928년 암스테르담 올림픽 이후 국제규정에 맞게 경기규칙을 개정한다는 내용이다. 지금으로부터 100여년 전에도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서 공인한 국제경기연맹의 경기규칙으로 올림픽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99] 왜 국가올림픽위원회(National Olympic Committee, NOC)라고 말할까
우리나라 체육인들은 1945년 8월15일 일본 압제로부터 해방된 이후 1948년 8월15일 정부수립보다 먼저 국가체육조직을 세워 태극기를 들고 런던올림픽(1948년 7월29~8월14일)에 참가한 것을 매우 자랑스러워한다. 대한올림픽위원회(KOC)라는 이름으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회원국으로 가입한 것은 1947년 6월20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제40차 총회에서였다. 조선체육회는 IOC 가입 1년전인 1946년 7월15일 올림픽대책위원회를 설치해 1948년 제14회 런던올림픽 참가를 준비했다. IOC는 올림픽 참가조건으로 각국 올림픽위원회(NOC)가 조직돼 IOC에 가입해야 하며 적어도 5개 이상 올림픽 경기종목이 국제경기연맹에 가입해야 한다고 규정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98] 높이뛰기(High jump)와 주고도(走高跳)는 어떻게 생겨난 말일까
‘스마일 점퍼’ 우상혁(26)이 불모지로 여겼던 육상 높이뛰기에서 세계챔피언에 우뚝 섰다. 우상혁은 지난 14일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2022 시즌 다이아몬드 리그 1차 대회에서 2.33m를 넘으며 2020 도쿄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무타르 바르심(카타르)과 잔마르코 탐베리(이탈리아)를 제치고 우승했다. 지난 2월 체코 월드 인도어투어 브론즈 후스토페체 높이뛰기 대회와 슬로바키아 반스카비스트리차 실내 높이뛰기 대회 연속 제패에 이어 실외대회에서 처음으로 세계 정상을 차지했다. 우상혁으로 인해 높이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동안 한국선수들이 올림픽, 세계선수권대회 등 세계규모 육상대회에서 이렇다할 성적을 내지 못했다가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97] 왜 ‘올림픽 수도(Olympic Capital)’가 스위스 로잔으로 됐을까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2019년 6월23일 창립 125주년을 맞아 스위스 로잔에서 새 본부 건물인 ‘올림픽 하우스’ 개관식을 가졌다. 1억3천만 유로(1천700억원)가 들어간 새 본부 건물은 스위스의 아름다운 호수 레만호를 끼고 있는 옛 본부 건물 자리에 조성됐다. 건물 외벽은 모두 유리가 사용됐고 지붕에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됐다. 건물 내부의 커다란 중앙 계단은 올림픽마크를 본떠 만들었고 전체적인 외관은 비둘기모양을 형상화했다. 그동안 공간 부족으로 로잔의 여러 건물에 흩어져 있던 IOC 직원들은 새 본부 건물에서 한데 근무하게됐다. IOC는 1994년 창립 100주년 기념일에 맞춰 로잔을 ‘올림픽 수도((Olympic Capital)’로 공식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96] ‘강원 2024’는 어떤 대회를 말하는 것일까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관련한 용어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IOC 홈페이지를 자주 들어가 본다. IOC 홈페이지는 IOC 역사와 역대 올림픽 정보 등이 많이 올라있지만 최신 뉴스들도 속보로 전하고 있다. 지난 12일 한국과 관련한 IOC 뉴스가 눈길을 끌었다. 청소년올림픽 강원 2024조직위원회(Youth Olympic Gangwon 2024 Organising Committee, YOGOC)가 5월11일과 12일 화상으로 열린 IOC 조정위원회 회의에서 자체 온라인 홍보과 청소년 활동에 관한 보고를 했다는 기사였다.‘강원 2024’는 2024년 1월19일부터 2월1일까지 강원도 평창군, 강릉시, 정선군, 횡성군 등에서 열릴 제4회 청소년 동계올림픽. 강원 동계유스올림픽을 뜻한다. 주최 지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95] 왜 ‘Olympic Agenda 2020’이라 말할까
수년전 모 대학원에서 글로벌스포츠 전공과목으로 강의한 ‘국제스포츠이벤트’에서 ‘Olympic Agenda 2020’ 전문을 원생들과 함께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시간을 가졌다. 현재 국제스포츠의 현실과 결부시켜 하나 하나의 문항 등을 비교, 연구한 원생들이 다양한 발표를 했다. 올림픽 어젠다 2020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올림픽과 국제대회에 대한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는 중요한 규범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법과 규칙 등은 국가나 조직체의 기본 운영방향과 세부 지침 등을 담고 있다. 어떠한 원칙을 갖고 이끌고, 어떤 방향으로 끌어갈 것인가를 논리적이고 일관성있게 규정하고 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도 자체 법과 규칙을 운영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94] 왜 ‘올림픽 레거시(Olympic Legacy)’라고 말할까
한국체육기자연맹은 2018 평창 겨울올림픽이 끝난 지 1달여가 지난 2018년 3월 30일 한국체육언론인화, 한국체육학회와 공동으로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과와 향후 과제'라는 주제의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선 전 세계 언론으로부터 성공적인 대회라는 찬사를 받은 펑창 겨울올림픽에서 어떤 성과를 얻었고, 앞으로 올림픽 유산으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등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포럼에선 임충훈 서울대 체육교육과 교수의 '포스트 평창, 무엇을 레거시로 남길 것인가?' 등의 주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대개 여름올림픽과 겨울올림픽이 끝나면 개최 도시들은 올림픽이 미친 영향 등을 평가하는 포럼을 개최한다. 평창 겨울올림픽에 이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93] 왜 ‘올림피아드(Olympiad)’라고 말할까
2020 도쿄 여름올림픽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세계적으로 대유행을 하는 바람에 2020년 열리지 못하고 1년 연기된 뒤 2021년 7월에 개최됐다. 하지만 이 대회 공식 명칭은 2021 도쿄 여름올림픽이 아닌 2020 도쿄 여름올림픽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는 4년마다 올림픽을 개최하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올림픽 헌장에 정해진 규칙 때문이다. (본 코너 689회 ‘왜 ‘올림픽 헌장(Olympic Charter)‘이라 말할까’ 참조)올림픽 헌장 6조항은 올림픽 대회 개최에 대한 규정을 명시하고 부칙에 ‘올림피아드는 역년 4년을 단위로 하는 기간으로 4년 중 첫해의 1월 1일에 시작되어 마지막 해의 12월 31일에 끝난다’, ‘올림피아드는 1896년 아테네에서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692] ‘올림피안(Olympian)’이라는 말은 어디에서 왔을까
동서화합의 스포츠 대축제였던 1988년 서울올림픽 공식 신문의 이름은 ‘올림피안(Olympian)’이었다. 영자지 코리아타임즈가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와 발행계약을 맺고 올림픽 기간 중 발행한 ‘올림피안’은 영어와 불어로 올림픽과 관련한 기사를 실었다. ‘올림피안’ 창간호는 표지에 올림픽기를 배경으로 한 성화 사진을 1면 칼러로 썼으며 당시 노태우 대통령의 축하 메시지를 첫 기사로 다뤘다. ‘올림피안(Olympian)’은 올림픽에 출전한 사람을 뜻하는 영어 표현이다.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를 비롯해 임원, 자원봉사자, 각 국제경기단체, 국가위원회(NOC) 및 국제올림픽위원회 (IOC)관계자들을 말한다. 올림피안은 IOC가 각종 규정을 성
오피니언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마니아, PICK!
[마니아포커스]개막전 선발 낙점 에이스들, 개막전 승리 없는 징크스 올해는 깨어질까?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잘못된 만남' 토트넘, 콘테의 열정 따라가지 못해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26세에 국대 은퇴?' '괴물' 김민재, 체력과 정신력 모두 '나약'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허구연 총재의 KBO 리그 미국 개막 일리 있다...켈리 "한국에 프로야구 리그가 있는 줄도 몰랐다"
오피니언
[2023 WBC]김혜성 첫 홈런 폭발, 박세웅·원태인은 무실점 호투로 한신에 7-3으로 승리
국내야구
[2023 WBC]본선 앞둔 마지막 평가전, 베스트라인업이 뜬다…최정 3루 복귀로 6~9번 타선은 변화 줘
국내야구
"우승의 열망과 의지를 담아" 키움 히어로즈, 2023시즌 캐치 프레이즈 '함께 더 높게'
국내야구
"한국 야구가 일본 동생"? 핀스트라이프앨리 "양의지, 최정, 이정후가 진짜 스타"
국내야구
고진영, 여자골프 세계 3위로 도약
골프
클린스만, 손흥민에 영어 쓸까, 독일어 쓸까?...독일어가 더 편할 듯
국내축구
facebook
NAVER cafe
NAVER Blog
Youtube
Kakao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