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골프
야구
국내야구
해외야구
축구
국내축구
해외축구
스포츠
농구
배구
일반
헬스
E스포츠
오피니언
엔터테인먼트
문화·라이프
마니아TV
오피니언
OPINION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50] 왜 ‘워밍업’이라고 말할까
‘워밍업’이라는 말은 본 운동에 앞서 간단히 하는 준비운동을 의미한다. 운동 전에 경기력 향상과 부상 방지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말은 영어 ‘warm up’이 변형된 것이다. 일본에서 ‘warm’이라는 단어 뒤에 진행형인 ‘-ing’를 붙여 ‘warming up’로 표기했다고 한다. 일본어로 ‘ウォーミングアップ(워어민구앗푸)’라고 말한다. 우리 국어사전에는 워밍업이라는 외래어로 소개돼 있다. 영어용어사전 등에 따르면 ‘warm up’은 따뜻하게 한다는 의미인 동사 ‘warm’과 위로라는 의미인 부사 ‘up’가 결합한 말로 몸을 덥게 한다는 뜻을 갖는다. 음식을 가열하거나 사람의 몸을 따뜻하게 한다는 의미로 1400년도부터 사용됐다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김학수기자의 월드컵 용어 산책 5]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 8강 북한의 ‘사다리 전법’은 어디에서 유래했나
북한은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에서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8강 신화를 이뤄 세계 축구계를 경악케했다. 당시만해도 북한은 ‘북괴(北傀)’라고 불렀지만 경제력 등에선 우리나라를 앞질렀다. 우리나라가 올림픽 출전문제로 인해 아시아 예선전에 불참한 가운데 호주를 꺾고 아시아대표로 출전한 북한은 잉글랜드 월드컵 예선 4조에서 소련에 3-0으로 패하고,칠레와 0-0으로 비긴뒤 한 수위로 평가됐던 유럽의 강호 이탈리아를 1-0으로 꺾고 소련에 이어 조 2위로 당당히 8강에 올랐다. 당시 북한은 ‘사다리전법’이라는 특이한 전법을 구사해 ‘동양의 진주’ 박두익이 이탈리아전에서 천금같은 결승골을 기록,1934년, 1938년 월드컵을 연속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김학수 기자의 월드컵 용어 산책 4] 월드컵에서 ‘꿈은 이루어진다’는 말이 등장하는 이유
★★ 2022 카타르 월드컵에 출정하는 한국축구대표팀의 승리를 기원하는 응원 구호로 ‘꿈은 이루어진다’는 말이 다시 등장했다. 원정 16강에 도전하는 목표를 달성하라는 염원이 담겨있다. 월드컵 마다 국민적 응원 구호로 등장하는 이 말은 원래 2002년 한일월드컵 때 축구대표팀 공식 응원단 붉은 악마가 내건 슬로건이다. 당시 북한이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에서 8강에 진출한 것을 2002 한일월드컵에서 재현해달라는 국민들의 절절한 소망을 가장 잘 나타냈던 것이다. 이것은 영어 관용구 ‘Dreams come true’을 번역해 우리 말로 익숙해진 표현이다. 꿈이라는 명사 ‘dream’, 온다는 동사 ‘come’, 진실되다는 형용사 ‘true’ 세 단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김학수 기자의 월드컵 용어 산책 3] 2022 FIFA 월드컵을 개최하는 ‘카타르(Qatar)’는 어떤 뜻을 갖고 있을까
1994년 미국 월드컵이 끝난 지 얼마 안돼서 카타르에 아시아청소년배구선수권대회를 취재하러 간 적이 있었다. 비행기에서 내려다 본 첫 인상은 황량한 사막 한 가운데 조성된 도시라는 느낌이었다. 9월임에도 불구하고 평균 기온이 섭씨 35도 정도나 됐다. 사람이 살기에는 적당한 곳이 아니라는 생각이 체재 하는동안 내내 들었다. 하지만 수도 도하 곳곳은 초현대식 빌딩마다 시원한 냉방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카타르는 풍부한 오일달러의 힘에 의지해 중동에서도 손꼽히는 나라라는 것이 실감났다. 영어용어사전 등에 따르면 ‘Qatar’는 아랍어로 ‘국가’라는 뜻이다. 로마시대인 2세기에 아랍 세계에서 '카타라(Qatara)'로 표기했으며,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김학수 기자의 월드컵 용어 산책 2] 왜 ‘월드컵 징크스(jinx)’라고 말할까
징크스는 우리말화 된 말로 영어에서 넘어 온 외래어이다. 불길한 일, 재수 없는 일이라는 뜻이다. 통상 “꼭 이 일만 하면 일에 제대로 안 풀린다”, “이건 꼭 이렇게 되더라”며 말할 때 쓰인다. 스포츠에서는 경기가 그렇게 되리라고 일반적으로 믿을 때 사용한다. 영어용어사전 등에 따르면 영어 ‘jinx’는 그리스어 새 이름 ‘junx’가 어원이다. 고대 그리스에서 이 새를 점치는데 사용했는데, 머리 생김과 움직임이 뱀과 같다고 불길하게 여겼다. 라틴어 ‘jynx’를 거쳐 영어로 변형됐다. 불길한 일의 반복 등을 뜻하는 징크스의 뜻은 미국방언학회의 베리 포픽(Barry Popik)이 1868년 유행하였던 기마수병 징크스 대령의 뜻인 ‘Capta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49] ‘다관왕(多冠王)’의 ‘관(冠)’은 어떤 의미일까
올림픽이나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여러 개의 금메달을 획득하는 선수들이 나온다. 특히 수영, 육상 등 많은 금메달이 걸린 종목에서 탄생한다. 이를 언론 등에서는 ‘다관왕((多冠王)’이라는 단어로 표현한다. 많은 관을 차지한 왕이라는 의미이다.‘다관왕’은 ‘많은 다(多), ’갓 관(冠)‘, ’임금 왕(王)‘ 세 한자어로 구성됐다. ’다(多)‘와 ’왕(王)‘은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가운데 글자 ’관(冠)‘은 제법 낯선 한자이다. ’관(冠)‘자는 ‘갓’이나 ‘관’, ‘쓰다’, ‘관례’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초기 꼴에서 이글자는 ‘冖冖며(덮을 멱)’자와 ‘元元(으뜸 원)’자, ‘寸寸(마디 촌)’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머리에 모자를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김학수기자의 월드컵 용어 산책 1] 왜 ‘월드컵(worldcup)’이라고 말할까
‘월드컵(world cup)’이라는 말은 세계 축구 대명사처럼 쓰인다. 4년마다 열리는 세계 최고의 국제축구대회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하지만 국가를 대표 하는 국가대표팀이나 개인이 세계 타이트을 놓고 경쟁하는 글로벌 스포츠 대회라는 것이 더 적합한 표현이다. 럭비 월드컵, 크리켓 월드컵, 하키 월드컵과 같이 ‘월드컵’이라는 이름이 붙은 각 종목 대회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월드컵 단어를 접하면 먼저 축구부터 연상한다. 축구라는 종목이 최고 인기 종목인데다 한국대표팀이 아시아 국가에서 가장 많은 출전횟수를 기록하고 2002 한일월드컵을 직접 개최하며 4강 신화를 올렸기 때문이다. 월드컵 이라는 단어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48] ‘메달(medal)’이라는 말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 등에서는 상위 입상자들에게 메달을 수여한다. 종목에 따라 메달은 크기와 디자인,수여 방법 등이 다르다. 수영 종목의 경우 올림픽, 아시안게임 등은 물론 각종 국내외 대회에서 메달을 시상한다. 메달의 사전적 정의는 표창이나 기념의 표지로 금ㆍ은ㆍ동 따위에 여러 가지 모양을 새겨 넣어 만든 둥근 패이다. 메달이라는 말은 영어 발음을 우리 말로 표기한 외래어이다. 영어로는 ‘medal’이라고 말한다. 영어용어사전 등에 따르면 ‘medal’의 어원은 광산, 채석장, 금속 등을 의미하는 ‘μέταλλον(metallon)이다. 라틴어 ’metallum’을 거쳐 이탈리어 ‘medallia’와 고대 프랑스어 ‘metal’을 차용해 15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47] 수영에서 ‘record’라는 말은 어디에서 왔을까
스포츠에서 기록은 수치로 나타낸 성적을 의미한다. 기록이라는 말은 한중일 등 한자문화권에서 모두 쓰는 단어이다. ‘기록할 기(記)’와 ‘기록할 록(錄)’이 합쳐진 기록이라는 말은 사실을 적는다는 뜻이다. 수영, 육상 등 종목은 시간 단위로 기록을 재서 가장 뛰어난 기록을 최고기록으로 표기한다. 한국 최고기록, 아시아 최고기록, 세계 최고기록 등으로 분류한다. 기록은 영어로 ‘record’라고 말한다. 이 말은 다시라는 의미인 접두사 ‘re’와 마음을 뜻하는 ‘cord’가 결합한 것이다. 다시 마음을 부른다는 의미로 한자어 기록과 비슷하다. ‘record’의 어원은 기록한다는 뜻인 라틴어 ‘recordari’이다. 고대 프랑스어 ‘record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46] 수영 선수 별명으로 ‘물개’와 ‘인어’를 많이 쓰는 이유
수영을 잘 하는 선수 별명으로 ‘물개’와 ‘인어’라는 말을 쓴다. 물개는 남자 선수에게, 인어는 여자 선수에게 따라 붙는다. 두 별명은 주로 우리나라 언론에서 많이 쓰는 표현이다. 물개라는 별명이 붙은 대표적인 선수는 1970년대 남자 수영 최고의 선수로 활약했던 조오련(1952-2009)이다. 조오련은 1974년 테헤란 아시안게임에서 자유형 400m와 자유형 1,500m에 출전하여 모두 1위를 차지, 1970년 방콕아시안게임에 이어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당시 자유형 200m에서는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현역 시절 마지막 국제대회였던 1978년 방콕 아시안게임에선 접영 2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그해 수영 부문 한국 신기록을 총 50회째 수립
오피니언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마니아, PICK!
[마니아포커스]개막전 선발 낙점 에이스들, 개막전 승리 없는 징크스 올해는 깨어질까?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잘못된 만남' 토트넘, 콘테의 열정 따라가지 못해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26세에 국대 은퇴?' '괴물' 김민재, 체력과 정신력 모두 '나약'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허구연 총재의 KBO 리그 미국 개막 일리 있다...켈리 "한국에 프로야구 리그가 있는 줄도 몰랐다"
오피니언
[2023 WBC]김혜성 첫 홈런 폭발, 박세웅·원태인은 무실점 호투로 한신에 7-3으로 승리
국내야구
[2023 WBC]본선 앞둔 마지막 평가전, 베스트라인업이 뜬다…최정 3루 복귀로 6~9번 타선은 변화 줘
국내야구
"우승의 열망과 의지를 담아" 키움 히어로즈, 2023시즌 캐치 프레이즈 '함께 더 높게'
국내야구
"한국 야구가 일본 동생"? 핀스트라이프앨리 "양의지, 최정, 이정후가 진짜 스타"
국내야구
고진영, 여자골프 세계 3위로 도약
골프
클린스만, 손흥민에 영어 쓸까, 독일어 쓸까?...독일어가 더 편할 듯
국내축구
facebook
NAVER cafe
NAVER Blog
Youtube
Kakao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