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골프
야구
국내야구
해외야구
축구
국내축구
해외축구
스포츠
농구
배구
일반
헬스
E스포츠
오피니언
엔터테인먼트
문화·라이프
마니아TV
오피니언
OPINION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84] 왜 체조는 종목이름과 기구이름이 같을까
체조는 기본적으로 기구를 얼마나 능수능란하게 다루는지를 겨루는 경쟁스포츠이다. 다른 종목이 공을 갖고 골을 얼마나 잘 넣느냐를 겨루는 것처럼 다양한 기구를 몸에 맞게 잘 사용하는가를 놓고 승부를 벌이는 것이다. (본 코너 851회 ‘왜 ‘체조(體操)’라고 말할까‘ 참조) 체조에서 경쟁하려면 여러 장비가 필요하다. 이 장비를 총칭해 '체조 기구(體操 器具)'라고 말한다. 체조에서 '기구'라는 말은 도마, 평균대 등과 같이 경기에서 사용하는 장비를 뜻한다. ‘그릇 기(器)’와 ‘갖출 구(具)’가 합해진 기구는 세간, 그릇, 도구 따위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한국, 중국, 일본 등 한자 문화권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한 한자어이다. 체조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채 883] 왜 ‘파쿠르(Parkour)’라고 말할까
국제체조협회(FIG)는 2017년 스위스 집행위원회와 평의원 총회에서 ‘파쿠르’를 8번째 관할종목으로 승인했다. 기계체조, 덤블링, 리듬체조, 아크로바틱 체조, 에어로빅 체조, 트램펄린, 생활체조에 이어 ‘파쿠르’를 직접 관할하는 종목으로 추가한 것이다. 도시와 자연 환경에서 다양한 장애물들을 활용해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민첩하게 이동하는 경쟁적인 도시 스포츠이다. 군대로 말하면 ‘유격훈련’과 같은 것이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Parkour’는 길, 코스, 여정이라는 뜻을 가진 프랑스어 명사 ‘Parcours’에서 파생됐다. 동양의 한자권으로 표현하자면 ‘도(道)’와 비슷한 의미이다. 1998년 파쿠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82] 왜 ‘피지컬 리터러시’라고 말할까
현재 ‘피지컬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에 대한 적절한 우리말 번역어가 없다. 직역하면 ‘신체적 문해력’이라고 쓸 수 있지만, 그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편의상 ‘피지컬 리터러시’ 또는 약어로 ‘PL’이라고 쓴다. 옥스퍼드 사전에 따르면 ‘리터러시’는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한국어로는 ‘문해력’ 또는 ‘이해력’ 같은 말로 옮길 수 있다. 리터러시라는 단어는 19세기 말에 만들어져서 20세기 전반기까지는 문해력이라는 좁은 뜻으로만 쓰이다가, 20세기 후반 이후 뜻이 확장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쓰이게 되었다.‘리터러시’는 홀로 쓰기보다는 앞에 다른 단어가 붙어서 함께 쓸 때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81] 체조는 왜 '모든 스포츠의 기본'이라 말할까
대한체조협회 홈페이지 메인 화면 가장 첫 머리는 ‘모든 스포츠의 기본은 체조입니다(BASIC OF ALL SPORTS)’라는 문구로 시작한다. 미국의 건강 사이트들에는 ‘체조-모든 스포츠의 어머니(Gymnastics—The “Mother” of All Sports)’라는 말이 자주 둥장한다. 이는 체조가 스포츠의 기본운동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본 코노 851회 ‘ 왜 ‘체조(體操)’라고 말할까‘ 참조)올림픽에서 세계적인 체조 선수들이 도마, 평행봉, 트램펄린 위에서 고난이도의 연기를 펼치는 모습에 일반인들은 감탄한다. 체조 스타들의 공연은 공중제비를 할 수 있을 것 같은 꿈을 주기도 한다. 물론 체조와 무관한 일반인들이 올림픽 선수가 될 필요는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80] 왜 ‘아크로바틱 체조’라고 말할까
‘아크로바틱 체조’는 체조 기본동작을 응용한 운동이다. 체조는 물론 댄스, 다이빙, 태권도, 서커스 등에서 곡예적인 묘기를 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아크로바틱 체조는 영어 ‘Acrobatics gymnastic’을 번역한 말이다. 보통 아크로바틱이라고도 말한다.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acrobatics’의 어원은 줄타기 곡예사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akrobates’이다. 그리스어로 접두사 ‘acro’는 폰다는 뜻을 갖는다. 그리스어 ‘acropolis’는 높다는 의미인 ‘acro’와 도시를 뜻하는 ‘polis’가 합쳐져 높은 지역이라는 의미이다. 아크로바틱은 높은 데 올라가서 줄타기를 한다는 뜻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에선 일제강점기시절부터 아크로바틱이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79] 왜 ‘갈라(Gala)’라고 말할까
코로나19 방역 규제가 완화된 이후인 지난 해 12월, ‘리듬체조의 요정’ 손연재가 주관하는 2022 손연재 리프 챌린지컵이 인천 남동체육관에서 열렸다. 대회 첫날에는 6세부터 13세까지의 선수와 일반 참가자의 규정종목과 자유종목 경기가 진행된다. 둘째 날에는 손연재와 리듬체조 국가대표 서고은 및 리듬체조 꿈나무들의 갈라 공연이 펼쳐졌다. 갈라 공연은 체조, 피겨 스케이팅, 댄스, 발레, 뮤지컬, 오페라 등 스포츠와 예술에서 주연급이 출연해 각 작품 중 주요 장면을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무대를 가리킨다. 갈라공연은 줄여서 갈라쇼, 또는 갈라라고 말한다. 갈라는 영어로 ‘Gala’라고 쓴다. 영어용어사전 등에 따르면 갈라의 어원은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78] 왜 체조에서 ‘양1’이라고 말할까
법무부는 1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양학선(31·부산시체육회)을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한국 기계체조 첫 올림픽 챔피언'인 양학선은 2012년 런던올림픽 도마 종목 금메달, 2011·2013년 세계선수권 1위 등 기록을 갖고 있다. 한동훈 장관은 지난해 8월 신임검사 임관식에서 1932년 LA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사비노 굴리엘메티(이탈리아)와 양학선의 런던올림픽 경기 영상을 비교하며 검찰이 지난 70년간 축적해온 수사역량을 제대로 습득할 것을 강조한 바 있다.도마 종목은 도움닫기를 시작해서 5초만에 결정나는 찰나의 경기이다.(본 코너 858회 ‘왜 체조 종목에서 ‘도마(跳馬)’라는 말을 쓸까‘ 참조) 이 5초를 위해 지난 수십년간 엄청난 기술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77] 왜 ‘리어타드(leotard)’라고 말할까
‘리어타드’는 무용수나 체조선수들이 입는 몸에 착 붙는 원피스를 말한다. 19세기 프랑스 곡예사 쥘 리어타드(1839-70)의 이름을 딴 것으로 프랑스어로 ‘leotard’라고 쓴다. 리어타드라는 사람은 공중 그네 공연의 경계를 넓힌 곡예사이다. 그는 무제한의 신체 움직임을 위해 꽉 끼는 원피스 의상을 디자인했는데 그가 죽은 1870년 이후 그가 만든 옷을 리어타드라고 불렀다. 리어타드는 원래 남성 전용이었다. 서커스에서 공중그네 연기를 펼쳤을 때, 남성 서커스 공연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 1950년대 리어타드는 주로 무대 예술가와 서커스 연예인들이 입었지만 1970년대로 접어들면서 평범한 색상의 리어타드는 학교와 피트니스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76] 왜 ‘생활체조’라고 말할까
체조라는 말은 신체발달을 위한 운동부터 올림픽 정식종목까지 포괄적이고 넓은 의미로 쓰인다. (본 코너 851회 ‘왜 ‘체조(體操)’라고 말할까‘ 참조) 일반인들이 즐겨하는 체조는 ’생활체조‘라고 칭하며, 전문 선수들이 하는 체조는 그냥 ’체조‘라고 부른다. 생활체조’는 말 그대로 생활 속에서 건강을 도모하기 위해 하는 체조를 뜻한다. ‘생활체조’는 살아서 활동한다는 의미인 ‘생활(生活)’과 ‘체조(體操)’의 합성어이다. 말 그대로라면 살아서 활동하기 위한 체조라는 의미이다. 영어 ‘Gymnastics for All'을 번역한 말이다. 생활체조는 예전 국가에 의해 장려된 ’국민체조(國民體操)‘와는 그 의미가 다르다. 생활체조는 국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75] 왜 ‘에어로빅’이라 말할까
‘에어로빅’은 체조이면서 춤이다. 그래서 에어로빅 댄스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외래어인 에어로빅은 특히 여성들 사이에서 미용체조로 각광을 받는다. 에어로빅이라는 말은 마치 건강을 상징하는 언어가 될 정도로 유행어가 됐다. 에어로빅은 영어말은 ‘aerobic’이다. 원래는 ‘호기성의’, ‘유산소의’, ‘유산소 운동의’리는 의미를 가진 형용사이다. 하지만 이제는 마치 특종 종목을 지칭하는 고유명사가 됐다. 영어용어사전 등에 따르면 ‘aerobic’은 19세기 공기를 의미하는 ‘aero’와 생명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bios’에 형용사형 접미사 ‘ic’가 결합해 만들어진 말이다. 에어로빅이라는 말이 형용사이기 때문에 명사형으로 미
오피니언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마니아, PICK!
[마니아포커스]개막전 선발 낙점 에이스들, 개막전 승리 없는 징크스 올해는 깨어질까?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잘못된 만남' 토트넘, 콘테의 열정 따라가지 못해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26세에 국대 은퇴?' '괴물' 김민재, 체력과 정신력 모두 '나약'
오피니언
[마니아노트] 허구연 총재의 KBO 리그 미국 개막 일리 있다...켈리 "한국에 프로야구 리그가 있는 줄도 몰랐다"
오피니언
[2023 WBC]김혜성 첫 홈런 폭발, 박세웅·원태인은 무실점 호투로 한신에 7-3으로 승리
국내야구
[2023 WBC]본선 앞둔 마지막 평가전, 베스트라인업이 뜬다…최정 3루 복귀로 6~9번 타선은 변화 줘
국내야구
"우승의 열망과 의지를 담아" 키움 히어로즈, 2023시즌 캐치 프레이즈 '함께 더 높게'
국내야구
"한국 야구가 일본 동생"? 핀스트라이프앨리 "양의지, 최정, 이정후가 진짜 스타"
국내야구
고진영, 여자골프 세계 3위로 도약
골프
클린스만, 손흥민에 영어 쓸까, 독일어 쓸까?...독일어가 더 편할 듯
국내축구
facebook
NAVER cafe
NAVER Blog
Youtube
Kakao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