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2(토)

스포츠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352] 왜 ‘경마(競馬)’라고 말할까

2025-02-15 11:12

2023년 그랑프리 경주 사진[한국마사회 제공]
2023년 그랑프리 경주 사진[한국마사회 제공]
경마(競馬)는 일본식 한자어이다. ‘겨룰 경(競)’과 ‘말 마(馬)’자의 합성어인데 사람이 탄 말이 일정 거리를 달려 그 순위를 겨루는 일이라는게 사전적 정의이다. 기수가 탄 두 마리 이상의 말이 정해진 거리를 달리는 승마의 일종이다. 승마가 기교 위주의 경기라면 경마는 속도를 겨루는 경기이다. (본 코너 1351회 ‘왜 승마(乘馬)’라고 말할까 참조)

경마는 영어 ‘horse racing’을 번역한 말이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horse racing’는 말을 의미하는 ‘horse’와 경주를 의미하는 ‘racing’의 합성어이다. 말을 타고 경주를 한다는 뜻이다. 1500년대부터 영어에서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영국 작가 필립 시드니 경이 1586년 자신의 작품에서 이 말을 처음 썼다고 한다.

일본에서 경마라는 말을 쓴 것은 1860년대 메이지 유신 전후이다. 일본에서 영어 ‘horse racing’를 직역해 말이 경쟁한다는 뜻인 ‘경마(競馬)’라고 했다. 일본 최초의 서양식 경마는 에도막부 개항 다음 해인 1860년에 요코하마 모토마치에서 열렸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선 일본강점기 때부터 경마라는 말을 사용했다. 인터넷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순종실록부록 5권, 순종 7년(1914년) 4월 2일 양력 2번째 기사에 ‘조선공론사(朝鮮公論社)의 경마회(競馬會)에 돈 300원을 내렸다. 동사가 창사 1주년 기념 및 마필 개량을 장려하는 뜻의 경마대회를 용산(龍山) 연병장(練兵場)에서 열었는데, 이 일로 준 것이다’고 전한다.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에 의하면 조선일보 1921년 3월7일자 ‘競馬大會開催(경마대회개최)’기사는 ‘일본(日本)는 입(廿),입일일양일간(廿一日兩日間) 작년 십일월경 부산 진매 립광쟝(부산진매입광장(釜山鎭埋立廣場))에셔 경마대회(경마대회(競馬大會))를 개최한이래 본년에도 뎨이회경마대회(제이회경마대회(第二囘競馬大會))를 개최하랴고 각애마가사이에 협의 한바 화태번일(화택번일(和宅繁一))과 밋추산봉일(추봉일(秋峰一))량씨가 발긔하야 지나간 오일에 부산경찰셔에 허가원을 뎨츌하얏는대 개최일시는 오는이십일과 밋이십일일 량일로하고 대대뎍으로 거행 방침을 토의즁 장쇼는 타쳐에 젹당한 처쇼가 업슴으로 젼일거행하얏든 부산진 매립디로 장쇼를 션졍하얏고 개최비는 이일간에 삼쳔오백여원을 수입되도록 계산하며 관객 규졍은 삼등급(삼등급(三等級))으로 분하야 립장료를□슈하야 경비에보충한후 그슈입금은 젼부 재향군인회(재향군인회(在鄉軍人會))의 긔본금으로삼아 동회의 긔쵸를 세우랴 하얏스나 경찰셔에서는 개인으로 츌원하는것보다 단톄뎍으로 츌원을하야 허가밧는것을 희망함으로 주최쟈는 엇지하얏든지 경마대회를 개최하는것만 결심하얏슴으로 쟝관은 잇슬것이요 만약우텬(우천(雨天))이면 슌연할것이라더’고 보도했다.
경마는 고대 그리스, 로마 제국 시대부터 시행된 역사가 매우 긴 스포츠 종목이다. 고대 중국 전국시대에도 경마와 유사한 전차경주가 있었다. 경마가 처음으로 문헌에 나타나는 것은 고대 그리스 음유시인 호메로스의 ‘이리아스’에서 추도식으로 행해진 전차 경주이다. 고대 그리스 전차 경주는 말 2마리가 끌고 경쟁하는 고대 올림픽 종목이었다. 영화 ‘벤허’는 말 4마리가 끄는 전차 경주 장면으로 유명하다.

경마는 16세기 영국에서 정식의 룰에 근거해 전용 경기용 시설인 경마장에서 시작됐다. 17세기 프랑스와 아일랜드, 19세기 독일과 이탈리아 등에서도 행해졌다. 17세기 이후에는 유럽 국가의 식민지였던 미국,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등으로 퍼져 나갔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기자 / kimbundang@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쇼!이슈

마니아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