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토 블루제이스는 온타리오 주 토론토를 연고로 하는 캐나다 프로 야구팀이다. 토론토는 아메리칸리그(AL) 동부지구 소속이다. 토론토 로저스 센터에서 홈경기를 치르지만, 2020시즌 홈구장으로 뉴욕 버팔로의 새한 필드를 사용했다. 팀 공식 색깔은 로열블루, 네이비블루, 레드, 화이트이지만 블루를 기본 바탕으로 하고 있다. 2000년 이후 로저스커뮤니케이션즈가 소유하고 있으며, 2004년 스카이돔을 인수하여 홈구장 이름이 로저스 센터로 바뀌었다. 2005년 캐나다 최초의 프랜차이즈인 몬트리올 엑스포스가 워싱턴 내셔널스가 된 이후 현재 미국 이외의 지역에 기반을 둔 유일한 MLB 팀이다.
토론토는 1977년 창단했다. 팀이름 토론토 블루제이스는 홈팬들을 대상으로 한 공모를 통해 정해졌다. 4,000개 이상의 이름과 3만 개의 출품작 중에서 ‘블루제이(Blue Jay)’라는 새 이름이 결정됐다. 블루제이는 캐나다 동부가 원산지인 새이다. 대부분 동부와 중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낙엽수림과 침엽수림에서 번식하며, 주택가에도 흔하다. 주로 파란색이며, 가슴과 아랫부분이 흰색이고, 푸른색 볏이 있다. 블루제이는 대담하고 공격적인 새이다. 몸과 꼬리를 수평으로 유지한 채 날고, 날개짓이 느린 편이다. 비행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비행할 때 매와 올빼미의 표적이 되기도 한다.
원래 블루는 토론토의 다른 두 프로 스포츠 팀인 메이플 리프(아이스하키)과 아르고노우츠(캐나다 축구)의 전통적인 색깔이기도 하다. 게다가 토론토는 원래 캐나다에서 인기 있는 맥주 ‘라바트 블루(Labatt Blue)’ 제조사인 라바트 브루잉 컴퍼니 소유였다. 팀 색깔 블루는 블루제이 새와 토론토 프로팀, 맥주 브랜드와 깊은 연관성으로 인해 정해진 것이다.
토론토 블루제이스 팀 로고는 창단이후 여러 차례 디자인이 바뀌었다. 1977년 첫 선을 보일 때는 팀이름을 둘러싼 원형 안에 단풍잎이 든 블루제이스가 고개를 들고 있는 모습이었다. 이 로고로 토론토는 1992, 1993년 월드시리즈 챔피언을 차지했다. 2000년 들어선 블루제이가 토론토를 뜻하는 빨강색 ‘T’자 바탕위에 방망이를 들고 야구공을 손에 든 로고로 변화했다. 2012년부터는 창단 때와 거의 똑같은 로고 문양으로 다시 교체했다. 한때 월드시리즈를 제패한 팀에서 중하위권을 맴도는 어정쩡한 팀의 모습에서 탈피하기 위한 때문이었다.
토론토는 LA 다저스보다 먼저 메이저리그에 한국 선수를 먼저 영입할 뻔 했다. 1977년 니카라과 월드컵과 1981년 캐나다 대륙간컵에서 뛰어난 활약을 한 최동원과 1981년 입단계약을 맺고 드래프트 순위 20번으로 등록했다. 하지만 프로 출범을 앞두고 최동원을 놓치 않으려는 한국야구계의 강력한 반대로 무산됐다. 토론토는 2018년 오승환을 영입하면서 한국선수와 연을 맺는 구단이 됐다.
2019년 LA 다저스에서 자유계약선수가 된 류현진을 영입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 4년 8000만 달러에 계약을 맺었다. 류현진은 한화이글스와 LA 다저스서부터 달고 뛰었던 99번 등번호를 토론토에서 계속 달았다. 99번은 캐나다 아이스하키 스타로 국민영웅인 웨인 그레츠키의 상징 번호로도 널리 알려져 그 의미가 남달랐다. 류현진은 이에 보답하듯 올 첫 데뷔무대에서 빛나는 투구로 팀을 디비전시리즈로 올려놓는데 큰 수훈을 세웠다.
[김학수 마니아리포트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71] 왜 뉴욕 양키스 로고는 'N'과 'Y' 두 글자를 합한 것일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70] ‘승차(Game Behind)’는 ‘매직넘버(Magic Number)’와 어떻게 다른가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69] 야구 ‘명예의 전당(Hall of Fame)’은 어떻게 만들어진 말인가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68] ‘핀치히터(Pinch Hitter)’의 ‘핀치’는 무슨 뜻일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67] 야구에서 왜 '이닝(Inning)’이라 말할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66] 메이저리그 ‘자유계약선수(Free Agent)’는 어떻게 생긴 것인가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65] 왜 ‘커미셔너(Commissioner)’라고 말할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64] ‘드래프트(Draft)’는 어디에서 온 말일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63] ‘팜시스템(Farm system)’에서 ‘팜’이 왜 들어갔을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62] ‘플래툰시스템(Platoon System)’에서 ‘플래툰’은 어떤 의미로 쓴 말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