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용어사전 등에 따르면 해머라는 말의 어원은 기원전 3세기 스칸디나비아에서 돌머리가 있는 도구를 가리키는 ‘hamaraz’이다. 이 말은 네덜란드어 ‘hamer’, 독일어 ‘hammer’, 고대 노르딕어 ‘hamarr’를 거쳐 고대 영어 ‘hamer’로 발전했다. 해머는 우리 말로 ‘망치’라고 한다. 망치는 몽골어 ‘만치’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머던지기는 우리 말 ‘망치’를 써서 ‘망치던지기’라고 해도 무방할 법하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적지 않았다.
해머던지기는 일제강점기 시절 한자어로 ‘철추투’ 또는 ‘투철추’라고 적었다. 철추투는 쇠몽치를 의미하는 ‘철추(鐵鎚)’와 던진다는 의미인 ‘투(投)’가 합쳐진 말이다. 철추를 던진다는 뜻이다. 조선일보 1927년 5월22일자 ‘극동경기예선(極東竸技豫選) 내오일 경성(來五日京城)’기사에서 육상 경기 종목을 소개하며 ‘철추투(鐵槌投)’ 라는 단어로 표기했다. 이후 ‘투’를 앞으로 옮겨 ‘투철추’라고 적기도 했다. 우리나라 언론은 해방이후 1960년대까지 ‘투해머’라고 쓰다가 1970년대 이후 ‘투’라는 말을 ‘던지기’로 바꿔 ‘해머던지기’라고 보도하기 시작했다.
일본에선 해머 영어 발음 ‘ハンマー(함마)’와 한자어 ‘투(投)’를 합쳐 ‘ハンマー投(함마아나게’라고 적는다. 우리나라에서 오래전 해머를 일본식 영어 발음 함마라고 말한 적이 있었다. ‘큰 망치’라는 뜻인 ‘오함마’는 ‘함마’ 앞에 크다는 의미를 쓴 일본어 ‘大ハンマ(오오함마)’에서 나온 말이다. 우리말 큰 망치로 쓰는 게 맞지만 아직도 건설 현장에서 오함마라는 말을 쓴다.
해머던지기는 BC 2000년경 아일랜드의 타일티안 경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당시 켈트족의 영웅이었던 쿠컬린이 전차 바퀴의 축을 잡고 머리 위로 회전시켜 여러 사람들 중에서 가장 멀리 던졌다고 한다. 그후 바퀴 대신 나무 손잡이가 달린 돌을 던지게 되었다. 해머 사용은 중세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16세기 그림에서 영국 왕 헨리 8세가 대장장이의 망치를 던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해머던지기는 1900년 파리 올림픽에서 처음 남자경기가 열렸으며 100년 후인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여자경기가 시작됐다. 헝가리는 1948년, 1952년, 1968년, 1996년, 2012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남자해머 강국이다. 폴란드는 2000년, 2012년, 2016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차지한 여자해머 강국이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