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영어 ‘Boxing’는 ‘한 방(a Blow)’이란 뜻의 중세 네덜란드어 ‘Boke’, 중세 고지 독일어 ‘Buc’, 덴마크어 ‘Bask’에서 유래했다. 타격할 때 나는 소리 “퍽”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주먹이나 손으로 때리다’란 의미는 14세기에 등장했다. ‘네모난 상자’ 모양 경기장에서 시작해 ‘때리다’란 의미가 붙었다는 추정도 있지만, 명확한 근거는 없다. 고대 그리스어로는 ‘피그마키아(υγμαχία)’라고 불렀는데, 이는 주먹(πυγμή)과 전투(μάχη)의 합성어이다. (본 코너 1291회 ‘왜 ‘복싱(Boxing)’을 ‘권투(拳鬪)’라고 말할까‘ 참조)
영어 ‘Glove’는 고대 독일어 ‘galōfô’에서 유래됐다. 독일어 접두사 ‘ga’는 집단을 의미하며, ‘lōfô’는 손바닥을 뜻한다. 고대 영어 ‘ glōf’와 중세 영어 ‘glove, glofe’를 거쳐 현대 영어로 바뀌었다. 스포츠에선 야구, 복싱 등에서 글러브를 사용한다.
미국 폴 딕슨 야구용어사전에 따르면 야구 글러브는 메이저리그 초기인 1867년부터 사용됐다. 복싱은 영국 런던에서 1860년대 퀸즈베리 후작 규칙에 적용되면서 글러브 착용이 의무화됐다. 그전까지는 맨손으로 경기를 했다고 한다. 서양 역사 기록에 의하면
기원전 2000년경 고대 중동과 이집트에서 선수들이 손목을 지지하는 밴드를 착용한 복싱 경기와 비슷한 장면을 묘사하는 벽화가 등장했다고 한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손 보호를 위해 가죽 조각을 손에 묶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로마 시대에는 검투사들이 글러브에 금속을 덧붙여 상대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고 한다. 잔혹성으로 인해 복싱은 기원후 393년 금지되기도 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언론은 일제강점기 때부터 글러브라는 말을 썼다.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에 의하면 조선일보 1925년 10월27일자 ‘7대(對)4로설욕(雪辱) 조명야구이회전(早明野球二回戰)’ 기사에서 ‘조군근본이포빙실삼루(早軍根本二匍氷室三壘)에 맹렬(猛烈)한 포구(匍球)를 송(送)하야 삼루(三壘)의 글러브를 탄(彈)한 안타(安打)에 이루(二壘)를 도(盜)하고 등본안타(藤本安打)에 빙실장구생환안전직격우단타(氷室長驅生還安田直擊右短打)에 등본삼루(藤本三壘)를 진(進)하자 산기우중간(山崎右中間)에 삼루타(三壘打)에 등본안전생환뇌목우직비안타(藤本安田生還瀨木又直飛安打)로 조대일거사점(早大一擧四點)을엇다 뇌목이도수원삼포(瀨木二盜水原三匍)에도(倒)할틈에 삼도(三盜)를 기(企)하고 정구직포(井口直匍)에 그치다’고 경기 상보를 전했다.
국제복싱협회(IBA)와 대한복싱협회 경기규칙에 따르면 선수는 해당 코너에 따라 홍 또는 청색 글러브를 착용해야 한다. 선수는 링에 입장하기 전에 글러브를 착용해야 한다. 경기가 끝난 후 판정이 발표되기 전에 글러브를 벗어야 한다. 글러브의 패딩이 한 쪽으로 옮겨져 있거나 부서져선 안되며, 깨끗하고 정비 가능한 글러브만 사용되어야한다. 모든 글러브를 다시 사용하기 전에 10% 하이퍼 염소산 나트륨을 사용해 세척해야 한다. IBA 엘리트 및 유스 남자대회에서는 미니멈급(46-48kg)부터 웰터(67kg)까지는 10온스 글러브를 사용한다. 라이트 미들급(71kg)부터 슈퍼 헤비급(+92kg)까지는 12온스 글러브를 사용한다. IBA 엘리트 및 유스 여자 대회 모든 체급에서 10온스 글러브를 사용한다. 글러브의 무게는 282gm(약 10온스), 340gm(약 12온스)이며, 허용 오차는 ±5%범위 이내여야 한다. 모든 IBA 대회는 벨크로 탈 부착식 글러브만 승인될 수 있다. 모든 IBA 대회에서 글러브 손목 부위에 한 겹의 테이핑을 덮어 상대방이 상처나 열상을 피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글러브 테이프는 IBA 공식용품 업체로부터 구입해야 하고, 글러브 테이프는 5cm 넓이여야 한다. 글러브는 소가죽(Cowhide Leather) 재질로 만들어져야 하며, IBA 승인을 받아야 한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기자 / kimbundang@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